올해 상반기 국내 대기업 중 신규 채용 계획을 세워놓은 곳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응답기업 126개사)을 대상으로 지난달 10일부터 27일까지 ‘2023년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대기업의 절반 이상(54.8%)은 올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했거나 채용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신규 채용 계획을 미수립한 기업이 39.7%, 신규 채용이 없는 기업은 15.1%로 조사됐다.
올해 상반기 신규 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은 45.2%로, 이중 채용 규모가 지난해와 비슷한 기업은 50.8%, 채용을 줄이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24.6%였다. 채용을 늘리겠다고 답한 기업은 24.6%에 그쳤다.
전경련은 “올 상반기 채용을 하지 않겠다는 기업 비중은 전년 동기(7.9%)보다 1.9배나 늘어난 수준”이라며 “이는 고물가와 고금리 기조 지속, 공급망 불안 등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고, 경기침체 장기화 조짐이 보이면서 기업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신규 채용 규모 축소 또는 채용 중단 등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번 조사에서 대규모 신입 공채 대신 수시 채용을 늘리겠다는 응답이 눈에 띈다. 응답 기업 10곳 중 6곳(57.1%)은 대졸 신규 채용에서 수시 채용 방식을 활용하겠다고 답했다. 이중 수시 채용만 진행하는 기업은 23.8%, 공채와 수시를 병행하겠다는 기업은 33.3%였다. 상반기 중 공채만 진행하는 기업은 42.9%로 조사됐다.
이공계 출신 선호도 두드러진다. 채용 계획 인원 10명 중 약 7명(67.5%)은 ‘이공계열’ 졸업자가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61.0%)보다 6.5%포인트(P) 늘어난 수준이다. 이어 인문계열(32.1%), 예체능, 외국계열 등 기타 전공계열(0.4%) 순이었다.
전경련은 “기술 융‧복합, 자동화 등 산업구조 고도화 흐름 속에서 과학기술 인재에 대한 기업들의 수요가 점점 늘어나는 추세”라며 “산업현장 수요에 기반해 학과 정원규제 완화, 융‧복합 교육과정 확대, 연구개발(R&D) 지원 강화 등 적극적으로 과학기술 인력 육성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김민영 기자 mykim@kmib.co.kr